공부/Figma
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권한 및 모드별 화면/상단 파일 설정 메뉴

무른2 2024. 2. 16. 16:19

 

 

 


* 해당 글은 메타코드M에서 진행되는 Figma 강의 서포터즈 활동으로 작성하는 글입니다.

 

 

권한 및 모드별 화면 

 

 

권한 및 모드별 화면 변화에 따른 차이점 알아보기

피그마에서는 권한에 따른 화면이 다른데요.

편집이 가능한 권한은 오너/어드민, 그리고 에디터가 존재합니다.

반면, 편집이 불가한 권한으로는 뷰어가 있습니다.


에디터 권한은 복제하거나 편집이 가능하고 레이어들의 속성값 변환 또한 가능합니다.

 

 

에디터 권한 vs 뷰어 권한 

 

상단

  • 에디터 권한

 

하단 

  • 뷰어 권한
상단의 툴들

 

뷰어 권한과 에디터 권한의 큰 차이점은 상단의 툴들인데요.

뷰어 권한 상단에 보면 일부 툴들이 보이지 않습니다.
중앙에 ask to edit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
클릭을 하면  파일에 대한 에디터 권한을 가진 사람들에게 edit 권한 요구 메일 발송하는 기능입니다.

 

 

 

* 요금제에 따라 주의할것 
edit 권한이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과금이 되기 때문에  주의할 필요성이 있습니다.

 

패널


차이는 패널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뷰어 권한에서는 asset 탭과 레이어 패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

  • asset 탭:  화면 구성요소가 모아져 있는 공간 
  • 에디터에서는 design prototype 패널이 제공
  • 뷰어는 커뮤니케이션에 적합한 패널들이 제공(피드백 위주)

 

  파일 위치

 

  • 에디터 권한에서는 테스트 파일의 위치 
  • 어떤 팀 프로젝트 내에 파일이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음 

 

개발자 모드 살펴보기

 

 

</> 토글 버튼을 클릭하면 개발 모드로 넘어갑니다.

개발자 모드는 현재 베타 유료가 언제 될지 모르지만 피그마 하나로 핸드오프한다면 베타 모드 활성화하는거 추천합니다.

개발 모드를 선택시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고, 간단한 튜토리얼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
상단 파일 설정 메뉴

 

상단 파일 설정 메뉴

  • quick actions ->  메뉴,코멘트 등 쉽게 찾아주는 검색 기능
  • file->   첫번째 3가지 메뉴들은 파일을 새로 빠르게 만들어줌
  • place image/video->  이미지나 비디오 파일을 피그마 내로 불러옴
  • save local copy->  작업하고 있는 피그마 파일을 local파일로 저장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네트워크에 저장되지 않아도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)

 

유용한 기능 :version history

  • save to version history -> 이때까지 작업한 것들을 시간때에 따라 저장할 수 있음
  • 피그마 작업 내용을 회귀해야할때 빠르게 작업을 찾아서 돌아올 수 있음 
  • 저장한 시점과 저장한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있음 

    여러번 저장하면 타임라인처럼 쌓이고 그 시점으로 작업물을 돌아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    언제든지 앞으로든 뒤로든 갈 수 있습니다.  
    피그마가 자동 저장한 버전들도 있습니다. 
    이는 별달리 이름으로 저장되지는 않지만 어떤 계정으로 접근했을때 자동저장되었는지 알려줍니다.
    이러한 작업 내용을 filter를 통해 분류하여 볼 수도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