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해당 글은 메타코드M에서 진행되는 Figma 강의 서포터즈 활동으로 작성하는 글입니다.
피그마는 어떻게 운영되나요?
피그마는 먼저 기본적으로 유저 1명으로 진행됩니다. 하지만 팀을 결성해서 초대를 하면 확장을 할 수 있습니다.
피그마는 1명으로 진행해도 팀이 생성이 되고 한 팀에서만 소속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다수의 팀에서도 소속하여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그래서 피그마는 작업하기에 굉장히 용이한 툴인거죠.
팀원별 권한 부여에 대해
팀으로 활동을 하게 된다면 별도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
피그마에서는 팀원 역할이 뷰어, 오너/어드민, 에디터로 나뉘는데요.
이렇게 권한을 나누어 수행하다보면 작업 수행 능력이 빨라지기도 하고
피그마 내 유료회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결제 요금을 절약할 수도 있습니다.
이제 각 역할별 어떤 권한이 있는지 살펴볼까요?
오너/어드민
오너/어드민은 팀 내에서 절대적인 권한을 가진 역할입니다.
1. 일반적으로 디자이너 직군을 담당합니다.
2. 팀의 프로젝트 및 파일 생성을 관리합니다.
3. 팀 멤버를 관리합니다.
4. 팀 설정 관리 및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도 합니다.
5. 팀 소유권 이전을 수행하거나 팀원을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.
에디터
에디터의 역할은 다음과 같은데요.
주로 디자이너 실무자이거나 기획자 직군을 맡습니다.
팀의 프로젝트와 파일 관리 및 팀 멤버 관리 등은 오너/어드민과 비슷한 권한이지만
팀 설정 관리, 팀 소유권 이전 및 삭제는 하지 못합니다.
뷰어
뷰어는 말그대로 게스트라고 할 수 있는데요.
파일 열람 외에 권한이 없다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.
그래서 실무자나 검토자인 경우, 뷰어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물론 오너/어드민에게 권한을 요구하면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.
무료/유료회원 차이
아까 피그마에는 요금제 제도가 있다고 하였는데요.
비회원/무료 회원/유료 회원별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.
비회원은 뷰어와 같이 공유받은 작업물을 확인할 수밖에 없습니다.
무료 회원은 작업을 할 수 있지만 작업물 개수와 소지 기한에 제한적입니다.
유료 회원은 무료 회원과 달리 무한하게 작업물을 생성하고 보관할 수 있는데요.
이때 베타 개발자 모드라는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.
베타 개발자 모드란?
디자이너들이 만든 작업물을 코드화하기 쉽게 하는 것입니다.
개발자와 디자이너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더 용이해질 것 같네요!
현재는 피그마에서 vscode extension을 공개하여 피그마 아트보드들과 관련된 코멘토 스레드까지
vscode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.
오늘은 이렇게 피그마의 팀원별 권한과 회원별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'공부 > Figm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권한 및 모드별 화면/상단 파일 설정 메뉴 (0) | 2024.02.16 |
---|---|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파일,페이지,레이어 기본 개념/신규 파일 생성 및 피그마 불러오기 (0) | 2024.02.16 |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피그마 페이지 돌아보기② (0) | 2024.02.15 |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피그마 설치 및 설정하기 (0) | 2024.02.15 |
[Figma] 피그마 입문 A to Z 부트캠프 메타코드_피그마를 배워야하는 이유 (0) | 2024.02.14 |